기사 메일전송
문체부, 예술인 평균 연수입 755만원…3년 전보다 526만원 감소 - 예술인 55.1% 전업 예술인 2018년 대비 2.3%p 감소 - 수입 월 100만원 미만 86.6%…사진·대중음악·국악 수입 낮아
  • 기사등록 2021-12-31 10:40:56
기사수정

문화체육관광부(이하 문체부)는 예술인 복지와 창작환경 등을 파악하고, 이를 예술인의 권익 보호와 복지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`2021 예술인 실태`를 조사하고 주요 지표 결과를 31일 발표했다.

 

이번 조사에서는 14개 분야별 예술인 구성 비중을 반영해 전국 17개 시도의 모집단 중 예술인 총 5109명을 1:1 면접, 유선 또는 온라인 방식으로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조사했다. 조사 기준시점은 2020년이다.

 

현재 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 (자료=문화체육관광부)

이번 조사 결과, 예술인의 55.1%가 전업 예술인이라고 응답했고 이는 2018년 조사보다 2.3%p 감소한 수치다. 프리랜서 비율은 전업 예술인 중에서는 78.2%, 겸업 예술인 중에서는 72.2%로 3년 전보다 모두 높아졌다.

 

2020년 한 해, 예술작품 발표 횟수는 3.8회로 3년 전 7.3회보다 3.5회 48% 감소했고, 예술인 개인이 예술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연수입은 평균 755만원으로 3년 전 1281만원보다 526만 원 41% 감소했다.

 

월 100만원 미만의 비중은 86.6%로 나타났다. 분야별로는 건축, 만화, 방송연예 분야의 활동 수입이 비교적 높은 반면 사진, 대중음악, 국악 분야는 수입이 낮아 분야 간 예술활동 수입의 편차가 있었다.

 

또한 예술인 가구의 연간 총수입은 평균 4127만원을 기록해 국민 가구소득 평균 6125만원과 약 2000만원의 차이를 보였다.

 

예술인 4명 중 1명은 저작권 수입이 있으며 대중음악과 만화, 문학 분야는 저작권 보유 현황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.

 

예술활동 관련 설문에서는 예술인의 14.4%가 지난 1년간 외국에서 예술 활동을 한 경험이 있다고 답해 3년 전보다 8.7%p 하락한 결과가 나왔다. 예술활동을 위한 개인 창작공간을 보유한 경우는 전체 응답자의 56.3%로 지난 2018년 결과보다 6.8%p 증가했다.

 

1회 이상 예술작품을 발표한 예술인 중 계약을 체결한 경험이 있는 비율은 54.3%로 3년 전 46.7%보다 7.6%p 증가했으며, 서면계약을 체결한 예술인 중 표준계약서 활용률은 66.0%로 3년 전 44.7%보다 21.3%p 증가했다.

 

아울러, 예술활동 중 업무상 상해 경험은 1.3% 감소했고, 예술경력 단절 경험은 12.4%증가했다. 이번에 새롭게 추가한 2개 조사 항목, 예술활동 중 예술인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45.5%로 국민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인지율 30.8%보다 높았으며, 예술활동 중 양성평등 수준은 `남녀평등하다`는 응답이 65.2%, `여성불평등`이라는 응답이 26.8%였다.

 

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"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더욱 낮아진 예술활동 수입, 높은 프리랜서 비율 등 열악한 경제 상황 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"며 "예술인 고용보험, 창작준비금 등 예술인의 창작안전망 지원을 확대하고, `예술인권리보장법` 시행, 표준계약서 보급 확대 등을 통해 공정한 예술창작환경을 만드는 데 더욱 노력하겠다"고 밝혔다.

 

0
기사수정
  • 기사등록 2021-12-31 10:40:56
나도 한마디
※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,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. 0/1000
확대이미지 영역
  •  기사 이미지 탈무드하브루타 수학교구 체험 행사
  •  기사 이미지 중국 유재석 팬클럽, 함께하는 사랑밭에 유재석 이름으로 ‘7012장 연탄기부’
  •  기사 이미지 KBS온라인평생교육원, 서울특별시교육감 감사장 수상
최신뉴스더보기
유니세프_리뉴얼
모바일 버전 바로가기